본문 바로가기
라우팅 프로토콜 요약 ▶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 RIP, OSPF, BGP 중심으로 숙지 ▶ 라우팅 프로토콜 구분 설명 RIPv1(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라우팅 경로계산을 위해 거리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가장 단순한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벡터 프로토콜은 R.E.Bellman이 제안한 거리계산 알고리즘에 기반하였기 때문에 "Bellman-Ford"프로토콜 RIPv2 RIPv2는 RIPv1의 예약필드를 사용하여 RIPv1의 기능을 대폭 확장 기본적인 동작은 RIPv1과 동일하며, 서브넷마스크 식별, 경로정보 인증, AS구별,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 전송 등의 기능이 추가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하나의 매트릭 값만을 사용하는 대신 다양한 네트워크.. 2023. 2. 9.
LAN/WAN 영역 이해 - 3 ▶ LAN/WAN 영역 이해 - 3 호스트 ID 범위 프리픽스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IP 브로드캐스트 IP 0~127 /25 255.255.255.128 192.168.10.0 192.168.10.127 129~255 /25 255.255.255.128 192.168.10.128 192.168.10.255 위와 같이 192.168.10.0/25 서브넷 대역과 192.168.10.128/25 서브넷 대역으로 분할한 뒤, 전자를 클라이언트 집단에 할당하고, 후자를 서버 집단에 할당한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1개의 LAN 영역은 논리적으로 클라이언트 LAN 영역과 서버 LAN 영역으로 이뤄진다. 다음으로 스위치 장비에서 클라이언트 LAN 영역에 속하는 호스트를 1번 포트부터 20번 포트 사이에 연결하고, 서.. 2023. 2. 9.
LAN/WAN 영역 이해 - 2 ▶ LAN/WAN 영역 이해 - 2 이젠 스위치의 동작을 알아본다. 스위치에는 스위칭 테이블이 있다. 스위칭 테이블 구조는 다음 표와 같이 포트와 맥 주소라는 2개의 항목으로 이뤄졌다. 이제 4개의 포트가 달린 스위치가 있고 각 포트에 호스트가 물린 상태라고 가정하자. 각 포트에 물린 호스트에서 사용하는 맥 주소는 다음과 같다. 구분 맥 주소 비고 1번 호스트 00-00-00-00-00-01 출발지 2번 호스트 00-00-00-00-00-02 3번 호스트 00-00-00-00-00-03 4번 호스트 00-00-00-00-00-04 목적지 또한 스위칭 테이블 상태는 다음과 같다. 포트 번호 맥 주소 참고로 여기서 언급한 포트 번호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와 달리 물리적인 접속 부위를 뜻한다. 이.. 2023. 2. 8.
LAN/WAN 영역 이해 - 1 ▶ LAN/WAN 영역 이해 - 1 LAN/WAN 영역에서 사용하는 이더넷이나 PPP 같은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과는 별개였다. 이후 TCP/IP 프로토콜이 인터넷 표준으로 정착하면서 LAN/WAN 기술과 통합한 것이다. 따라서, TCP/IP 계층 중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은 LAN/WAN 영역의 기술을 흡수하기 위해 마련한 계층이다. 네트워크 ID는 무수한 LAN 영역 중 특정 LAN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 라우터가 라우팅을 수행하기 위한 주소 체계다. 호스트 ID는 해당 LAN 영역에 속한 무수한 호스트 중 특정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다. 동일한 LAN 영역에서 호스트 사이의 통신은 맥 주소에 기반한 스위칭 통신이기 때문에 호스트 ID와 맥 주소 사이의 연결고리가 필요.. 2023. 2. 7.
TCP/IP 방식 전송과정 정리 ▶ 전송과정 정리 (사실상 TCP/IP 내용 정리에 해당) Telnet police.go.kr 80 과 같이 cmd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연결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1. 목적지 IP 주소에 해당하는 도메인 네임을 하드 디스크에서 검색한다(윈도우의 경우 :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2. 하드 디스크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을 검색할 수 없다면 DNS 캐시 테이블에서 검색한다. 3. DNS 캐시 테이블에서도 검색할 수 없다면 내부에서 DNS서버 IP주소를 검색한 뒤 로컬 IP 주소와 DNS 서버 IP 주소의 네트워크 ID를 자신의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서 비교한다. 출발지와 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상이하면 DNS서버로 가기위해 ARP 테이블에서 라우터의 맥.. 2023. 2. 5.
TCP/IP 방식의 물리 계층 ▶ TCP/IP 방식의 물리 계층 TCP/IP 방식에서 응용, 전송, 네트워크 계층에서 생성한 모든 전송 단위는 결국 물리 계층에서 비트 단위로 변환한다. 또한 응용 계층에서 물리 계층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논리적인 속성이 점차 물리적인 속성으로 변하기 때문에 물리 게층에서는 하드웨어 속성과도 관련이 깊다. 물리 계층에서는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기능 등을 정의한다. 즉, 통신에 필요한 신호 방식 또는 전송 대역폭 등을 규정한다. 그런 만큼 물리 계층 전반은 전산 분야라기보다는 전기 또는 전자 분야에 해당한다.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장비 또는 장치에는 UTP회선,처리에 적합한 비트 신호를 전송에 적합한 비트 신호로 변환해주는 DCE(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2023.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