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 RIP, OSPF, BGP 중심으로 숙지
▶ 라우팅 프로토콜
구분 | 설명 |
RIPv1(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라우팅 경로계산을 위해 거리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가장 단순한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벡터 프로토콜은 R.E.Bellman이 제안한 거리계산 알고리즘에 기반하였기 때문에 "Bellman-Ford"프로토콜 |
RIPv2 | RIPv2는 RIPv1의 예약필드를 사용하여 RIPv1의 기능을 대폭 확장 기본적인 동작은 RIPv1과 동일하며, 서브넷마스크 식별, 경로정보 인증, AS구별,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 전송 등의 기능이 추가 |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하나의 매트릭 값만을 사용하는 대신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거리벡터를 계산 |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CIDR이나 VLSM과 같은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스코에서는 IGRP기능을 확장한 EIGRP를 개발 |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모든 라우터가 동일한 네트워크 토플로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경로를 계산 네트워크가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만 전체 네트워크에 플러딩 과정을 수행 최적경로 계산을 위해 Dijkstra's 알고리즘이라는 링크상태 알고리즘을 이용 |
BGP(Border Gateway Protocol) | AS 사이에서 라우팅 정보를 전달하는 EGP 중 하나로 널리 사용 외부 라우팅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패스 벡터 알고리즘(Path Vector Algorithm)을 사용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WAN 영역 이해 - 3 (0) | 2023.02.09 |
---|---|
LAN/WAN 영역 이해 - 2 (0) | 2023.02.08 |
LAN/WAN 영역 이해 - 1 (0) | 2023.02.07 |
TCP/IP 방식 전송과정 정리 (2) | 2023.02.05 |
TCP/IP 방식의 물리 계층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