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Stateless와 Stateful, Connectionless와 Connection-Orient 프로토콜 ▶Stateful? 항상 개념을 찾을 때는 반대개념과 비교하면 이해하기 쉽다. 반대개념으로는 Stateless이 있다. Stateful특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에는 TCP, 온라인 뱅킹 등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있다. (TCP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정리한 글이 있으니 확인해보면 될 것같다.) 통신이 중단되더라도 이어서 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프로토콜이지만, 클라이언트의 세션정보가 새로 Scale out된 서버(쉽게말해 장비 대수를 늘려 서버의 용량과 성능을 확장하는 방법)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이로 인해 세션 정보를 새로운 서버에 옮겨주는 등의 부수적인 관리가 요구된다는 점이 단점으로 작용한다. ▶Stateless? Stateless의 경우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세션 상태 및 세션 정.. 2022. 10.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