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 7 Layer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의 표준이며, 실제 인터넷에 사용되는 연결방식인 TCP는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한 것이다. 초기 여러 정보 통신 업체 장비들은 자신의 업체 장비들끼리만 연결되어 호환성이 없었는데, 모든 시스템들의 상호 연결에 있어 문제없도록 표준을 정한것이 OSI 7 계층이라 할 수 있겠다.
여기서 4계층이 전송계층으로 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계층인데, TCP, UDP프로토콜에 해당된다. 반면 7계층은 응용계층으로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계층인데, HTTP가 여기 해당된다.
※ 캡슐화 : OSI 7 Layer 에서 정보가 7계층에서 1계층까지 전달될 때, 각 계층은 특정제어정보(주소, 에러제어 등)를 헤더화시켜 추가하는데, 이를 '캡슐화'라 한다.
(출처 :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379)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3-way handshaking(요약하자면, 클라이언트가 syn 패킷을 전송하고 서버측은 이를 받고 ack패킷과 함께 syn패킷을 전송한뒤 클라이언트가 다시 ack패킷을 전송하여 연결이 이루어지는 방식)과정으로 연결을 설정하고, 4-way handshaking(요약하자면, 클라이언트가 fin패킷을 전송하면 서버는 이를 받아 ack패킷을 보낸 뒤에 통신종료 후 fin패킷을 보내는데, 클라이언트는 이를 받아 ack패킷을 다시 보내는 방식)과정으로 연결을 해제하는데,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하는 연결방식이다. 높은 신뢰성,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같은 기능을 가지지만, UDP보다 속도가 늦다는 단점을 가진다.
▶ UDP(User Datagram Protocol)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요약하자면, TCP에 쓰인 가상회선 방식과는 달리 논리적 연결이 설정되지 않으며, 패킷을 순서없이 독립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신호절차를 거치지 않으며, 신뢰성이 낮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TCP보다 속도가 빠르고 네트워크 부하가 적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출처 : https://hwan-shell.tistory.com/m/271
https://mangkyu.tistory.com/m/15
https://velog.io/@hidaehyunlee/TCP-%EC%99%80-UDP-%EC%9D%98-%EC%B0%A8%EC%9D%B4
https://velog.io/@funnysunny08/HTTP-%EC%99%80-TCPIP-OSI-7-%EA%B3%84%EC%B8%B5
https://mindnet.tistory.com/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22%ED%8E%B8-TCP-3-WayHandshake-4-WayHandshake
https://gotwo.tistory.com/m/107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웹 브라우저의 캐시(Cache) (0) | 2022.10.22 |
---|---|
[네트워크] Stateless와 Stateful, Connectionless와 Connection-Orient 프로토콜 (0) | 2022.10.21 |
[네트워크] HTTP 프로토콜 (0) | 2022.10.17 |
[네트워크] Front-end와 Back-end (0) | 2022.10.17 |
[네트워크] URL의 구조 (1) | 2022.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