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ache2 기본 접속경로 변경
Apache2가 접속하는 디렉토리 경로는 /var/www/html/ 이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편하게 웹개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내 홈 디렉토리에 webApp 디렉토리를 만들어 해당 디렉토리를 통해서 웹 접속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해보도록 하자.
▶ Apache2 설정 변경
1. sudo vi /etc/apache2/apache2.conf 명령어로 파일을 열어 Apache2의 설정파일을 연다. 그럼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설정하는 방법이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지는데, 나는 후자를 택했다.
(1) /var/www/ 부분을 내가 바꿔주고 싶은 경로 (/home/student/webApp/) 로 바꾸어준다.
(2) 아래에 경로를 하나 더 만들어준다.
나는 경로를 하나 더 추가해주는 방식으로 해결했기에 아래에 /home/student/webApp/ 경로를 하나 더 추가해준 모습이다.
2. sudo vi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명령어로 설정파일을 연다.
ServerAdmin 아래의 DocumentRoot 가 아마도 /var/www/html/ 와 같이 되어있을텐데 내가 설정하고 싶은 디렉토리로 바꿔준다.(/home/student/webApp)
3.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명령을 통해 Apache2를 재실행 해준다.
▶ 위 과정을 수행했는데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우선 apache2의 에러로그를 확인해보자. 에러로그 확인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1
|
cat /var/log/apache2/error.log
|
cs |
로그를 봐도 뭐가 문젠지 모르겠다면,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내 경험상 크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안될 가능성이 높다.
1. 실행하고자 하는 파일의 오류
localhost(127.0.0.1)로 파일을 실행했을 때, 파일이 갑자기 죽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나같은 경우, 외부에서 작업하던 파일들을 고스란히 옮겨서 작업했던지라, database 구축이 아직 되지도 않았는데 실행했다든지, MySQL 의 schema 이름을 기존 database와 다르게 설정하고 접속파일을 수정하지 않았든지 등의 문제로 파일을 실행하지 못했었다.
2. 권한 상의 오류
이 경우에는 브라우저로 파일을 불러오면 권한상의 오류에 관한 경고가 뜬다. 예) Forbidden You don't have permission to access / on this server
나같은 경우는 디렉토리 권한을 webApp 디렉토리에만 755(rwxr-xr-x)을 줘서 긴 시간동안 해결하지 못했다. 기본경로로 설정하려는 디렉토리 경로가 /home/student/webApp 이라면, 권한을 /home, /home/sutdent, /home/student/webApp 세 디렉토리에 모두 755 설정을 해줘야 한다.(혹은 711 - 실행권한이 필요하므로, 리눅스의 권한을 이해하고 싶으면 내가 전에 쓴 글이 있으니 참조하자.)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디렉토리들의 권한을 변경해줄 수 있다.
1
2
3
|
chmod 755 /home
chmod 755 /home/student
chmod 755 /home/student/webApp
|
cs |
'Linux > Ubuntu 개발 환경 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우분투 환경에서 웹 개발 환경(APM) 구축하기 - 2 (0) | 2022.11.02 |
---|---|
[Ubuntu] 우분투 환경에서 웹 개발 환경(APM) 구축하기 - 1 (0) | 2022.11.01 |
댓글